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은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주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으로 분류됩니다.
아래에서는 비소세포폐암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방법, 그리고 수술을 잘하는 병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원인
비소세포폐암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흡연: 폐암 발생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전체 폐암 환자의 약 85%가 흡연과 관련이 있습니다.
- ko.wikipedia.org
- 간접흡연: 주변인의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도 폐암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환경적 요인: 라돈 가스, 석면, 비소, 크롬, 니켈 등의 노출은 폐암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유전적 요인: 가족 중 폐암 환자가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증상
비소세포폐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기침: 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 객혈: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 호흡곤란: 숨 가쁨이나 호흡 곤란
- 흉통: 가슴 부위의 통증
- 체중 감소: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 피로감: 만성적인 피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진단
비소세포폐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가 시행됩니다:
- 영상 검사:
- 흉부 X선: 폐의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흉부 CT 스캔: 종양의 크기, 위치, 전이 여부를 상세하게 평가합니다.
- 조직 검사:
- 기관지경 검사: 기관지를 통해 종양 조직을 채취하여 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 경피적 침생검: 피부를 통해 바늘로 종양 조직을 채취합니다.
- 기능 검사:
- 폐 기능 검사: 폐의 기능을 평가하여 수술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 심장 기능 검사: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여 전신 마취 및 수술의 안전성을 확인합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종양의 병기와 환자의 전신 상태를 평가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4. 치료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법
비소세포폐암(NSCLC, Non-Small Cell Lung Cancer)은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폐암 유형으로, 선암(Adenocarcinoma),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대세포암(Large cell carcinoma) 등으로 분류됩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법은 암의 진행 정도(병기), 환자의 건강 상태, 유전자 변이 여부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1. 비소세포폐암 치료 방법
1) 수술 (Surgical Resection)
✅ 수술 적응증
- 주로 1기 및 2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시행
- 3기 환자 중 국소적으로 암이 제한된 경우 일부에서 시행 가능
- 폐 기능이 충분하여 수술 후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한 환자
✅ 수술 방법
- 폐엽절제술(Lobectomy): 폐엽 전체를 절제하는 표준 수술법
- 전폐절제술(Pneumonectomy): 폐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 (암이 광범위하게 퍼졌을 때 시행)
- 구역절제술(Segmentectomy) 또는 쐐기절제술(Wedge Resection): 폐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시행하는 부분 절제술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보조항암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 방사선 치료 적응증
- 수술이 어려운 국소 진행성 폐암(3기) 환자
- 수술 후 보조 치료로 사용
- 전이성 폐암 환자에서 증상 완화 목적
✅ 방사선 치료 종류
- 고식적 방사선 치료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여러 주에 걸쳐 시행
- 정위적 체부 방사선 치료(SBRT,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초기 폐암에서 비침습적 방식으로 종양을 정밀하게 조사
- 강도 조절 방사선 치료(IMRT,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정상 조직의 손상을 줄이면서 종양에 높은 방사선량을 조사
- 양성자 치료 (Proton Therapy): 양성자를 이용하여 정밀한 방사선 치료 시행
3)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항암화학요법은 **수술 전후(보조요법), 국소 진행성 암(3기), 전이성 암(4기)**에서 사용됩니다.
✅ 항암제 종류
- 백금 기반 항암제 (Cisplatin, Carboplatin) + 다른 세포독성 항암제 병용
- 비백금 기반 항암제 (Docetaxel, Pemetrexed)
✅ 항암화학요법의 사용 시기
- 수술 전 (신보조요법, Neoadjuvant Chemotherapy)
- 수술 전에 종양 크기를 줄이고 미세 전이를 치료하는 목적
- 병기 2~3A의 일부 환자에게 적용
- 수술 후 (보조요법, Adjuvant Chemotherapy)
- 수술 후 남아 있을 수 있는 암세포 제거 목적
- 병기 2~3A 환자에서 생존율 향상 효과 있음
- 국소 진행성 폐암 (3기)
- 방사선 치료와 함께 동시적 항암화학요법 시행
- 전이성 폐암 (4기)
- 생존 기간 연장 및 증상 완화 목적
4) 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비소세포폐암의 일부 환자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존재하며, 표적 치료제를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표적 치료제 종류 및 적응증
유전자 변이표적 치료제
EGFR 변이 | Osimertinib(Tagrisso), Erlotinib, Gefitinib, Afatinib |
ALK 재배열 | Alectinib, Crizotinib, Ceritinib, Lorlatinib |
ROS1 재배열 | Crizotinib, Entrectinib |
BRAF V600E 변이 | Dabrafenib + Trametinib |
MET exon 14 skipping | Capmatinib, Tepotinib |
RET 재배열 | Selpercatinib, Pralsetinib |
표적 치료제는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높으며, 경구 복용이 가능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5) 면역치료 (Immunotherapy)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를 이용한 치료법으로, 암세포가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는 기전을 차단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합니다.
✅ 면역치료제 종류
- PD-1 억제제: Pembrolizumab (Keytruda), Nivolumab (Opdivo)
- PD-L1 억제제: Atezolizumab (Tecentriq), Durvalumab (Imfinzi)
- CTLA-4 억제제: Ipilimumab
✅ 면역치료의 적응증
- PD-L1 발현율이 50% 이상인 경우 1차 치료로 단독 사용 가능
- 4기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에서 화학요법과 병행 치료 가능
6) 다학제적 치료 (Multidisciplinary Treatment)
비소세포폐암 치료는 **종양내과, 흉부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등 여러 전문과가 협력하는 다학제 진료(MDT)**를 통해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춘 최적의 치료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병기별 치료 전략
병기치료법
1기 | 수술 (폐엽절제술), SBRT (고위험군) |
2기 | 수술 + 보조항암화학요법 |
3기 |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 면역치료 |
4기 | 표적치료, 면역치료, 항암화학요법 ± 증상 완화 치료 |
결론
비소세포폐암은 조기 발견 시 수술적 치료를 통해 완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진행성 암에서도 항암화학요법, 표적치료, 면역치료 등을 통해 생존율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최신 치료법들이 개발되면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옵션이 확대되고 있으며, 맞춤형 치료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며,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이 중요합니다.
5. 수술 잘하는 병원
비소세포폐암(NSCLC)은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성과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있는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는 국내에서 비소세포폐암 수술로 잘 알려진 7개 이상의 병원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 서울아산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 특징: 국내 최대 규모의 병원으로, 폐암센터를 운영하며 다학제 진료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술 기법과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전문 분야: 로봇 보조 흉강경 수술, 최소 침습 수술, 다학제 진료
- 연락처: 02-3010-3114
2. 삼성서울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 특징: 폐암센터를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 진료를 제공하며, 최신 로봇 수술 시스템과 최소 침습 수술 기법을 도입하여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합니다.
- 전문 분야: 로봇 수술, 최소 침습 수술, 다학제 진료
- 연락처: 02-3410-2114
3. 서울대학교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 특징: 국내 최고 수준의 의료진과 연구 역량을 보유한 병원으로, 폐암 치료에 있어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합니다.
- 전문 분야: 흉강경 수술, 다학제 진료, 임상 연구
- 연락처: 02-2072-2114
4. 세브란스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 특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으로, 폐암센터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최신 수술 기법과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전문 분야: 로봇 수술, 최소 침습 수술, 다학제 진료
- 연락처: 1599-1004
5.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 73
- 특징: 폐암센터를 운영하며, 다학제 진료를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 치료를 제공합니다. 최신 로봇 수술 시스템과 최소 침습 수술 기법을 도입하여 수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합니다.
- 전문 분야: 로봇 수술, 최소 침습 수술, 다학제 진료
- 연락처: 02-920-5114
6.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 특징: 폐암센터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최신 수술 기법과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습니다.
- 전문 분야: 흉강경 수술, 다학제 진료, 임상 연구
- 연락처: 1588-1511
7. 국립암센터
- 위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 특징: 국가 암 치료의 중심 기관으로, 폐암센터를 운영하며 최신 치료 기법과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전문 분야: 최소 침습 수술, 다학제 진료, 임상 연구
- 연락처: 031-920-2000
8. 부산대학교병원
- 위치: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 특징: 부산·경남 지역의 대표적인 의료 기관으로, 폐암 치료에 있어 다학제 진료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술 기법과 장비를 활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 전문 분야: 흉강경 수술, 다학제 진료, 임상 연구
- 연락처: 051-240-7000
이러한 병원들은 비소세포폐암 수술에 있어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환자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치료를 고려하실 때에는 각 병원의 전문 분야와 특징을 참고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의료 기관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캔디의 의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폐포암에 대한 모든 것과 수술 잘 하는 병원 알아보기 (0) | 2025.03.13 |
---|---|
소세포폐암에 대한 모든 것과 수술 잘 하는 병원 알아보기 (0) | 2025.03.13 |
항문암에 대한 모든 것과 수술 잘 하는 병원 알아보기 (1) | 2025.03.13 |
소장암에 대한 모든 것과 수술 잘 하는 병원 알아보기 (1) | 2025.03.13 |
상피내암에 대한 모든 것과 수술 잘 하는 병원 알아보기 (0) | 2025.03.13 |